바우처 – 아동・청소년 심리 지원 서비스

출처 :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(www.socialservice.or.kr)

  • 사업 목적

지역특성과 주민 수요에 따라 지자체가 기획·발굴한 사업을 바우처 방식으로 지원하여 지역사회서비스 확충 및 일자리 창출 도모

  • 서비스 대상

전국가구 기준 중위소득 140%이하 가구를 원칙으로 하며 사업별로 상이(단, 아동·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는 기준 중위소득 160% 이하,

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 소득기준 없음,

비만아동 건강관리 서비스 소득기준 없음,

보완대체의사소통기기 활용 중재서비스 기준 중위소득 170% 이하)

[2024년 기준 중위소득 140%]

(단위 : 명, 원)

가구원수1인2인3인4인5인6인7인
기준 중위소득3,120,0005,156,0006,601,0008,022,0009,375,00010,666,00011,921,000
  • 대상적격 재판정 

시·도 및 시·군·구에서 지역주민의 서비스 수요 및 예산 상황을 반영하여 재판정 대상으로 결정한 서비스에 한해소득·연령 등 서비스별 선정기준 적합시 재판정을 통해 추가 이용 가능 

  • 서비스 내용

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표준모델 및 기타 지자체에서 발굴한 서비스

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표준모델

  • (아동・청소년 심리 지원 서비스 / 목적)

심리·행동 문제의 조기 발견 및 개입을 통한 아동·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

  • (아동・청소년 심리 지원 서비스 / 서비스 대상)

   – 소득 및 연령 : 기준 중위소득 160%이하 가정의 만 18세 이하 아동・청소년. 단, 고등학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 청소년의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경우 서비스  적용 대상으로 인정

  – 우선순위 : 저소득 가구 아동 

  – 욕구기준 : 

   1. 다음 중 어느 하나를 충족하는 아동・청소년 중 서비스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

     ①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(ADHD)

     ② 정서적 문제: 불안, 우울, 공포, 불안정 애착 등

     ③ 사회성 결여: 사회적 위축,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의 어려움

     ④ 발달장애 경계: 언어 및 인지문제

     ⑤ 반항, 품행장애, 비행 등 기타 종합심리검사를 통해 문제로 파악된 경우

        (단, 장애아동의 경우 발달재활서비스에서 제외되는  9개 유형(지체, 정신, 신장, 심장, 호흡기, 간장, 안면, 장루 및 요루, 간질)만 포함)

    2. 욕구판단은 진단서(혹은 소견서)를 제출한 아동·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함.

       – 진단서(혹은 소견서)는 각 지역 병원, 학교, 정신건강복지센터, 아동보호전문기관,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위센터, 사회

         서비스 제공 기관에 소속된 아동청소년 대상의 심리평가가 가능한 전문가(의사, 임상심리사, 정신건강전문요원,

         청소년상담사, 전문상담(교사)가 수행한 임상심리평가 결과지가 청부된 것이어야 함(진단서(혹은 소견서)의

         요약서도 첨부되어야 함)

       – 임상심리평가는 부모보고 검사도구와 전문가보고 검사도구를 가각 필수로 하나를 선택하여 시행하여야 함. 부모보고

         검사도구는 K-CBCL, K-ARS, RCMAS, -PRC,-CYP, PRES/ SELSI, KPI-C, MMP(다면적 인성검사) 중 하나를 필수로

         선택하여야 하며, 전문가보고 검사도구는 K-WISC-IV 지능검사, K-ABC2 중 하나를 필수로 활용하여야 함. 검사결과는

         절단점이나 백분위를 기준으로 종합적으로 판단하되 전문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은 아동·청소년임이 확인되어야 함.

         *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, 장애아동발달재활서비스와 중복지원 불가(행복e-음에서 확인)

         * 다른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서비스를 중복 수혜하지 않는 아동·청소년을 우선적으로 지원

  • (아동・청소년 심리 지원 서비스 / 서비스 내용) 

아동·청소년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주1회(회당 50분) 제공하고 여건에 따라 부가서비스 제공

구분서비스 내용서비스횟수
기본 서비스  – 아동·청소년의 조기개입서비스 기본프로그램① 언어프로그램    아동·청소년의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휘한 프로그램으로서 언어능력을    진단하고 언어문제 유형을 분석하며 이를 중재하는 치료프로그램임 ② 놀이프로그램     언어로 표현하고 전달하기 어려운 아동·청소년의 생각, 감정, 행동을 놀이를      통해 효과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문제 극복과 잠재된 가능성을     극대화하는 프로그램임③ 미술프로그램    시각적인 미술매체를 통해 내면의 손상된 부분에 올바른 변화를 주는 프로    그램으로서 예술적인 자기표현 과정이 아동·청소년의 무의식을 활성화    시키고 창조적 기능을  자극하여 자기 치유능력 중진에 도움을 제공함④ 음악프로그램    음악활동을 체계적으로 사용하여 문제성 있는 행동을 바람직하게 변화    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아동·청소년의 내적/외적 요소들에 대한 내용들을    분석하고 평가하여  치료계획 수립과 음악활동을 실행함⑤ 심리상담프로그램    아동·청소년이 심리적으로 건전하고 사회적으로 효율적인 특성을 학습    하도록 돕는 프로그램으로서 상담을 통해 사고, 정서, 행동 측면의 문제를    스스로 제거하거나 감소시킬 수 있게 함월4회 (주1회)(회당50분:프로그램 40분+부모상담 10분) 
부가 서비스1. 사회성 향상프로그램 : 집단활동 프로그램으로써 방학, 휴일을 이용해   서비스 제공필요시
2. 부모교육 : 아동 문제 해결을 위해 부모에게 정보와 기술을 제공하는   치유적 접근 프로그램수시